향사홀기

 

執禮先詣東序端唱笏贊者承傳

집례선예동서단창홀찬자승전

[집례는 사당 동쪽 끝에 나아가 홀을 부르고, 찬자는 제관에게 전하시오.]

 

獻官以下諸執事皆就門外位序立

헌관이하제집사개취문외위서립

[헌관 이하 제 집사는 모두 문외위(사당 바깥 쪽)에 차례로 서시오.]

 

贊者引初獻官及祝陞自東階入廟詣神位前

찬자인초헌관급축승자동계입묘예신위전

[찬자는 초헌관과 축을 모시고 동계로 올라가 사당 안으로 드시어 신위 앞으로 나가시오.]

 

初獻官點視陳設祝開櫝點燭

초헌관점시진설축개독점촉

[초헌관은 진설을 살펴보시고 축은 신주 독을 열고 점촉 하시오.]

 

贊者引初獻官及祝降自東階門外位 復位

찬자인초헌관급축강자동계문외위복위

[찬자는 초헌관과 축을 모시고 동계로 내려와 문외위로 돌아가시오.]

 

贊者引獻官學生及諸執事入階間位

찬자인헌관학생급제집사입계간위

[찬자는 헌관과 학생 및 제 집사를 계간위(사당 뜰)로 모시고 들어가시오]
 

重行序立北向西上

중항서립북향서상

[두 줄로 사당을 향하여 서편(상좌)에서 차례로 서시오.]

 

贊者進立於獻官之前揖白謹具請行事退

찬자진입어헌관지전읍백근구청행사퇴

[찬자는 헌관 앞에 나아가 서서 읍하고 ‘행사 합시다’라고 아뢴 뒤 물러가시오.]
 

獻官以下參祀者皆參神 再拜鞠躬-拜-興-拜-興平身

헌관이하참사자개참신재배국궁배흥배흥평신

[헌관 이하 참사자 모두 참신 재배하시오, 몸을 굽혀 구령 ‘배’에 절하고 ‘흥’하면 일어나시고, “평신”에 바로 서시오.]
 

贊者引祝及諸執事詣盥洗位

찬자인축급제집사예관세위

[찬자는 축과 제 집사를 모시고 관세위(손 씻는 곳)로 나아가시오.]
 

皆盥手帨手各就位

개관수세수각취위

[축과 재집사 모두는 관수(손을 물에 담굼) 세수(손을 닦음)하고 각각 맡은 자리로 가시오.]

 

贊者就執禮之右謁者贊引就獻官之後

찬자취집례지우알자찬인취헌관지후

[찬자는 집례의 오른편에 서시오, 알자는 초헌관 뒤에, 찬인은 아헌관, 종헌관 뒤에 각각 서시오.]
 

奉香・奉爐・奉爵・奠爵・司尊就廟內位

봉향봉로봉작전작사준취묘내위

[봉향・봉로・봉작・전작・사준은 사당 안으로 드시오.]

 

學生就東序

학생취동서

[학생은 동편에 차례로 서시오.]

 

 

 

行奠幣禮  [전폐례를 하겠습니다]

행전폐례

 

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盥手帨手

알자인초헌관예관세위관수세수

[알자는 초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나아가 손을 씻고 닦으시오.]

 

引詣文忠公神位前北向跪

인예문충공신위전북향궤

[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문충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으시오.]

 

奉香奉香盒奉爐奉香爐

봉향봉향합봉로봉향로

[봉향은 향합의 뚜껑을 열고 받들어 헌관의 오른편에 꿇어앉으시고. 봉로는 향로를 받들어 헌관의 왼편에 꿇어앉아서 드리시오.]

 

獻官三上香俛伏興北向跪

헌관삼상향면복흥북향궤

[헌관은 향을 세 번 피우시고 엎드렸다가(俯伏) 일어나 신위를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祝立於獻官之右北向跪

축입어헌관지우북향궤

[축은 헌관 우편에 섰다가 북쪽(신위쪽)을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執事以幣授祝祝奉幣授獻官

집사이폐수축축봉폐수헌관

[집사(奉香)는 준소(尊所)로부터 폐비(幣篚)를 받아 축에게 주시고 축은 폐를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受幣以授祝祝奠于神位前

헌관수폐이수축축전우신위전

[헌관은 폐를 받아서 축에게 주시고 축은 폐를 받아서 신위 앞에 바치시오]

 

獻官俛伏興次詣 文靖公神位前 東向跪

헌관면복흥차예문정공신위전동향궤

[헌관은 면복한 후 일어나서 문정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 동쪽(신위쪽)으로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奉香奉香盒奉爐奉香爐

봉향봉향합봉로봉향로

[봉향은 향합의 뚜껑을 열고 받들어 헌관의 오른편에 꿇어앉으시고 봉로는 향로를 받들어 헌관의 왼편에 꿇어앉아서 드리시오.]

 

獻官三上香俛伏興北向跪

헌관삼상향면복흥북향궤

[헌관은 향을 세 번 피우시오, 손을 집고 엎드렸다가(俯伏=俛伏) 일어나 신위를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祝立於獻官之右北向跪

축입어헌관지우북향궤

[축은 헌관 우편에 섰다가 북쪽(신위쪽)을 향하여 꿇어앉으시오]

 

執事以幣授祝祝奉幣授獻官

집사이폐수축축봉폐수헌관

[집사(奉香)는 준소(尊所)로부터 폐비(幣篚)를 받아 축에게 주시고 축은 폐를 받들어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受幣以授祝祝奠于神位前

헌관수폐이수축축전우신위전

[헌관은 폐를 받아서 축에게 주시고 축은 폐를 받아서 신위 앞에 바치시오]

 

獻官俛伏興引降復位

헌관면복흥인강복위

[헌관은 손을 집고 엎드렸다가 일어서서 동계로 내려와 헌관 위치로 돌아가시오.]

 

 

 

行初獻禮 [초헌례를 하겠습니다.]

행초헌례

 

謁者引初獻官詣尊所西向立

알자인초헌관예준소서향립

[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준소로 나아가 서편을 향하여 서시오.]

 

司尊擧冪酌酒

사준거멱작주

[사준은 술독의 덮개(冪)를 열고 술을 따르시오.]

 

謁者引獻官詣文忠公神位前北向跪

알자인헌관예문충공신위전북향궤

[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문충공 신위 앞에 나아가 신위를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奉爵以爵授獻官

봉작이작수헌관

[봉작은 준소(尊所)로부터 잔을 받아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執爵(祭酒)以授 奠爵

헌관집작제주이수전작

[헌관은 잔을 받아 제주(술을 세 번 기울임) 후 전작에게주시오.]

 

奠爵奠于神位前啓簠簋

전작전우신위전계보궤

[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에 바치시고 보궤 (簠簋:기장과 피쌀을 담는 그릇)의 뚜껑을 여시오.]

 

獻官俛伏興次詣尊所西向立

헌관면복흥차예준소서향립

[헌관은 손을 집고 엎드렸다가 일어나 다음은 준소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시오.]

 

司尊擧冪 酌酒

사준거멱작주

[사준은술독의 덮개(冪)를 열고 술을 따르시오.]

 

獻官詣文靖公神位前東向跪

헌관예문정공신위전동향궤

[헌관은 문정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 동쪽으로 향하여 꿇어앉으시오]

 

奉爵以爵授獻官

봉작이작수헌관

[봉작은 준소(尊所)로부터 잔을 받아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受爵以授奠爵奠爵奠于神位前啓簠簋

헌관수작이수전작전작전우신위전계보궤

[헌관은 잔을 받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에 바치시고 봉향(奉香).봉로(奉爐)는 보궤의 뚜껑을 여시오.]

 

獻官俛伏興詣文忠公神位前北向跪

헌관면복흥예문충공신위전북향궤

[알자는 헌관을 모시고 문충공 신위 앞에 나아가 신위를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祝詣獻官之左東向跪讀祝文

축예헌관지좌동향궤독축문

[축은 헌관 왼편에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으시오.]

 

獻官俛伏興引降復位

헌관면복흥인강복위

[헌관은 면복 후 일어서서 동계로 내려와 헌관 위치로 돌아가시오.]

 

 

 

行亞獻禮 [아헌례를 하겠습니다.]

행아헌례

 

贊引引亞獻官詣盥洗位盥手帨手

찬인인아헌관예관세위관수세수

[찬인은아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나아가 손을 씻고 닦으시오.]

 

引詣尊所西向立司尊擧冪酌酒

인예준소서향립사준거멱작주

[찬인은 아헌관을 모시고 준소로 나아가 서편(왼쪽)을 향하여 서시고 사준은 술독의 덮개(冪)를 열고 술을 따르시오.]

 

引獻官詣文忠公神位前北向跪

인헌관예문충공신위전북향궤

[헌관은 문충공 신위 앞에 나아가신위를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奉爵以爵授獻官

봉작이작수헌관

[봉작은 준소(尊所)로부터 잔을 받아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受爵以授奠爵奠爵奠于神位前

헌관수작이수전작전작전우신위전

[헌관은 잔을 받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에 바치시오.]

 

獻官俛伏興次詣尊所西向立

헌관면복흥차예준소서향립

[헌관은 손을 집고 엎드렸다가 일어나 다음 준소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시오.]

 

司尊擧冪酌酒

사준거멱작주

[사준은 술독의 덮개(冪)를  열고 술을 따르시오.]

 

獻官詣文靖公神位前東向跪

헌관예문정공신위전동향궤

[헌관은 문정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 동쪽으로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奉爵以爵授獻官

봉작이작수헌관

[봉작은 준소(尊所)로부터 잔을 받아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受爵以授奠爵奠爵奠于神位前

헌관수작이수전작전작전우신위전

[헌관은 잔을 받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에 바치시오.]

 

獻官俛伏興引降復位

헌관면복흥인강복위

[헌관은 면복 후 일어서서 동계로내려와 헌관 위치로 돌아가시오.]

 

 

 

行終獻禮  [종헌례를 하겠습니다.]

행종헌례

 

贊引引終獻官詣盥洗位盥手帨手

찬인인종헌관예관세위관수세수

[찬인은 종헌관을 관세위로 모시고 나아가 손을 씻고 닦으시오.]

 

引詣尊所西向立司尊擧冪酌酒

인예준소서향립사준거멱작주

[찬인은 종헌관을 모시고 준소로 나아가 서편(왼쪽)을 향하여 서시고 사준은 술독의 덮개(冪)를 열고 술을 따르시오.]

 

引獻官詣文忠公神位前北向跪

인헌관예문충공신위전북향궤

[찬인은 헌관을 모시고 문충공 신위 앞에 나아가 신위를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奉爵以爵授獻官

봉작이작수헌관

[봉작은 준소(尊所)로부터 잔을 받아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受爵以授奠爵奠爵奠于神位前

헌관수작이수전작전작전우신위전

[헌관은 잔을 받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에 바치시오.]

 

獻官俛伏興次詣尊所西向立

헌관면복흥차예준소서향립

[헌관은 손을 집고 엎드렸다가 일어나 다음준소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시오.]

 

司尊擧冪酌酒

사준거멱작주

[사준은 술독의 덮개(冪)를  열고 술을 따르시오.]

 

獻官詣文靖公神位前東向跪

헌관예문정공신위전동향궤

[헌관은 문정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 동쪽으로 향하여 꿇어앉으시오.]

 

奉爵以爵授獻官

봉작이작수헌관

[봉작은준소(尊所)로부터 잔을 받아 헌관에게 드리시오.]

 

獻官受爵以授奠爵奠爵奠于神位前

헌관수작이수전작전작  전 우 신 위 전

[헌관은 잔을 받아 전작에게 주시고 전작은 잔을 받아 신위 앞에 바치시오.]

 

獻官俛伏興引降復位

헌관면복흥인강복위

[헌관은 면복 후 일어서서 동계로 내려와 헌관 위치로 돌아가시오.]

 

獻官序立 皆 再拜 [鞠躬-拜-興-拜-興] 平身

헌관서립개재배국궁배흥배흥평신

[삼헌관은 차례로 서서 허리를 굽혀 ‘배’.‘흥’의 구령에 맞추어 재배 후  바로 서시오.]

 

 

 

行飮福禮  [음복례를 하겠습니다.]

행음복례

 

謁者引初獻官陞東階詣飮福位西向跪

알자인초헌관승동계예음복위서향궤

[알자는 초헌관을모시고 동계로 올라 음복위로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앉으시오.]

 

祝詣尊所以爵酌福酒進減神位前胙肉

축예준소이작작복주진감신위전조육

[축은 준소에 나아가 복주를 잔에 따르고 신위전의 조육을 덜어서 차리시오.]

 

祝進獻官之左以爵授獻官獻官飮卒爵

축진헌관지좌이작수헌관헌관음줄작

[축은헌관의 왼편에서 헌관에게 잔을 드리고 헌관은 술을 마십시오.]

 

祝取虛爵復于坫

축취허작복우점

[축은 빈 잔을 받아 상(坫)에 놓으시오.]

 

謁者引初獻官降復位

알자인초헌관강복위

[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동계로 내려가 헌관 위치로 돌아가시오.]

 

祝以下諸執事皆降自東階詣階間位

축이하제집사개강자동계예계간위

[축 이하 모든 집사는 모두 동계로 내려가 사당 뜰로 나가시오.]

 

獻官以下 參祀者 皆 辭神 再拜 [鞠躬-拜-興-拜-興] 平身

헌관이하참사자개사신재배국궁배흥배흥평신

[헌관급 이하 참사자는 모두 사신 재배하시오, 몸을 굽혀 ‘배’, ‘흥’의 구령에 맞추어 재배 후 바로 서시오.]

 

 

 

行望瘞禮  [망예례를 하겠습니다.]

행망예례

 

謁者引初獻官詣望瘞位西向立

알자인초헌관예망예위서향립

[알자는 초헌관을 모시고 망예위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.]

 

贊者引祝入廟 闔櫝取幣及祝板引詣望瘞位

찬자인축입묘합독취폐급축판인예망예위

[찬자는 축을 인도하여 사당으로 들어가 독(櫝:신주)을 닫으시고 폐와 축문을거두어 망예위로 나아가도록 인도하시오.]

 

獻官跪祝焚祝置于坎執事實土半坎

헌관궤축분축치우감집사실토반감

[헌관은 꿇어앉으시고 축관은 폐와 축문을 망예위에서 불살라 흙(구덩이)으로 덮으시오.]

 

謁者引初獻官及祝皆降復位

알자인초헌관급축개강복위

[알자는 초헌관과 축을 인도하여 모두 제자리로 가시오.]

 

贊者進立於獻官之前揖白禮畢

찬자진입어헌관지전읍백례필

[찬자는 초헌관 앞으로 나아가 읍(揖)하고 ‘예필’을 아뢰시오.]

 

謁者贊引各引獻官出學生以下次出

알자찬인각인헌관출학생이하차출

[알자는 초헌관을 찬인은 아헌관.종헌관을 각각 모시고 나가시고 학생이하 차례로 나가시오.]

 

 

 

조곡 서원 향사 축문(享祀祝文)

維歲次(干支)  二月(干支)朔   日(干支) 幼學(某)  敢昭告于

유 세 차  간 지   이 월  간 지  삭    일  간 지   유 학  모   감 소 고 우

文忠公鰲城君安先生 伏以 貫日精忠 振世隆功 百代山仰 興慕無窮

문 충 공 오 성 군 안 선 생  복 이  관 일 정 충  진 세 융 공  백 대 산 앙  흥 모 무 궁

玆値中丁 謹以 牲幣醴齊 粢盛庶品 式陳明薦以

자 치 중 정  근 이  생 폐 예 제  자 성 서 품  식 진 명 천 이

文靖公皐隱安先生配 尙 饗

문 정 공 고 은 안 선 생 배  상  향

 

 

풀이→
모년 모월 모일에 유학(후학) 모(某)는 문충공 오성군 안 선생 신위전에 감히 고하나이다.
엎드려 생각컨데 하늘을 꿰뚫은 충성이 세상을 떨치고, 그 공은 백세에 빛나도다. 신위를 우러러 사모하는 마음 다함이 없어, 이에 중정(中丁) 날에 삼가 회생(牲)과 폐백(幣), 술과 기장과 피 등의 여러 가지 제수를 공손히 진설하여 드리오니, 문정공 고은 안선생과 함께 강림하시와 흡향하옵소서.]